맨위로가기

라틴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틴 문학은 기원전 3세기에 헬레니즘 문학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로마가 그리스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발전했다. 초기에는 그리스 문학의 모방에서 시작하여 점차 로마만의 독자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으며, 특히 기원전 1세기에 키케로, 카이사르, 베르길리우스, 호라티우스 등이 활동하며 황금기를 맞이했다. 이후 백은 시대를 거쳐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네오라틴 문학이 발전했으며, 근대에도 라틴어는 학문과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틴 문학 - 구텐베르크 성경
    구텐베르크 성경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1450년대에 마인츠에서 인쇄한 성경으로, 가동 활자를 사용한 서양 최초의 주요 인쇄본이자 인쇄 혁명의 상징이며, 불가타 라틴어 성경을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유성 잉크, 블랙레터 서체, 수작업 장식이 특징이다.
  • 라틴 문학 - 불가타
    불가타는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전을 참고하여 옛 라틴어 성경을 수정 및 번역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의 개정을 거쳐 트렌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으며, 서구 기독교와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미친 라틴어 성경이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라틴 문학
지도
일반 정보
언어라틴어
국가고대 로마 및 로마 제국, 후에는 유럽 전역
시기
고전 라틴 문학기원전 1세기 ~ 기원후 2세기
후기 라틴 문학2세기 ~ 6세기
중세 라틴 문학6세기 ~ 15세기
신라틴 문학15세기 이후
문학 형식
서사시, 서정시, 풍자시
산문역사, 철학, 수사학, 편지, 소설
희곡비극, 희극
주요 작가
고전 라틴 문학키케로
베르길리우스
호라티우스
카툴루스
오비디우스
루크레티우스
세네카
플리니우스
타키투스
페트로니우스
퀸틸리아누스
유베날리스
마르티알리스
후기 라틴 문학테르툴리아누스
암브로시우스
제롬
아우구스티누스
카시오도루스
보에티우스
그레고리우스 투로넨시스
중세 라틴 문학
주요 작가베다
알쿠인
힐데가르트 빙엔
토마스 아퀴나스
단테 알리기에리
제프리 초서
신라틴 문학
주요 작가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아이작 뉴턴
프랜시스 베이컨
르네 데카르트
존 밀턴

2. 역사

로마 문학(라틴 문학)은 기원전 3세기에 헬레니즘 문학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 그 이전에도 영웅 가요나 소극이 있었지만, 그리스 문학에 밀려났다. 로마는 헬레니즘 세계를 정복하면서 그리스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로마 문학은 안드로니쿠스호메로스오디세이아를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시작되었다.

제1차 포에니 전쟁 승리(기원전 241년) 후 로마인들은 물질적 여유를 얻었고, 이는 고급 문예의 출현을 촉진했다. 안드로니쿠스 번역의 그리스극은 연극 시대를 열었고, 플라우투스와 테렌티우스 같은 희극 작가들을 배출했다. 이후 로마 문학은 독자성을 갖추기 시작했다.

엔니우스는 로마 역사를 서사시로 읊어 '로마 문학의 아버지'로 불렸고, 그가 창시한 풍자시는 루킬리우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카토는 로마의 그리스화를 경계했지만, 헬레니즘화가 대세였다. 그리스적 교양을 갖춘 상류층이 늘면서 문학은 세련되어졌고, 라틴어는 문학어로서 발달하여 기원전 1세기 황금 시대를 맞이했다.

기원전 3세기 안드로니코스가 호메로스오디세이아를 번역한 후, 엔니우스의 『연대기』가 라틴어 서사시의 시작을 알렸다. 제2차 포에니 전쟁 즈음, 파비우스와 픽토르는 로마의 입장을 알리기 위해 그리스어로 『역사』를 썼다. 제3차 포에니 전쟁의 승리자 스키피오는 그리스인들과 교류하며 지식인 모임을 만들었다.

헬레니즘 유입에 대한 비판도 있었는데, 카토는 그리스 철학자에게 로마 퇴거를 명령했고, 원로원은 바쿠스 제의를 금지했다.

실용성을 중시한 로마인은 변론과 연극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키케로는 변론을 다듬어 널리 읽힐 작품을 남겼고, 플라우투스, 카이킬리우스, 테렌티우스는 아티카 희극을 본떠 로마 희극을 만들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간결하고 분명한 문체로 「갈리아 전기」를 써 라틴어 산문의 걸작으로 꼽힌다. 살루스티우스는 「카틸리나 음모」, 「유구르타 전쟁」등을 썼다.

에피쿠로스 학파 루크레티우스는 「사물의 본질에 관하여」에서 종교를 비판했고, 카툴루스는 『시집』에서 사랑과 질투를 노래했다.

2. 1. 초기 라틴 문학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라틴 문학은 수 세기에 걸쳐 발전했지만, 정식 라틴 문학은 기원전 240년 로마에서 희극과 비극이 정기적으로 공연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제1차 포에니 전쟁이 끝난 지 1년 후였다.[1] 초기 희극과 비극은 기원전 272년 로마에 노예로 끌려온 그리스 포로인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가 그리스 희곡을 각색한 것이었다. 안드로니쿠스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를 사투르누스 계량이라는 전통적인 라틴 운율 형식을 사용하여 라틴어로 번역했다. 기원전 235년, 로마 시민인 그나이우스 나이비우스는 그리스 원작을 재구성한 희곡, 즉 '파불라 팔리아타'의 전통을 이어받았고, 기원전 222년부터는 로마 신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한 비극인 '파불라 프래텍스타'라는 새로운 유형의 희곡을 제작하면서 이를 확장했다. 나이비우스는 후에 자신이 참전했던 제1차 포에니 전쟁에 관한 서사시를 사투르누스 계량으로 썼다.[2]

다른 서사시 작가들이 나이비우스를 따랐다. 퀸투스 엔니우스는 로마 건국부터 자신의 시대까지 로마 역사를 묘사한 역사 서사시 ''연대기''(기원전 200년경 이후)를 썼다.[3] 그는 그리스 다크틸 육보를 채택했는데, 이는 로마 서사시의 표준 운율 형식이 되었다. 그는 비극으로도 유명했다. 이 분야의 후계자로는 마르쿠스 파쿠비우스와 루키우스 악키우스가 있다. 이 세 작가는 로마 역사의 에피소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지만, 그리스인들이 이미 썼던 비극적 주제의 라틴어 버전을 썼다. 그리스를 모방했을 때조차도 그들의 번역은 원래 그리스 작품의 단순한 복제본이 아니었다. 그들의 희곡 중 일부만이 단편으로 남아 있다.

카토 장로


초기 라틴 희극에 대해서는 훨씬 더 많은 것이 알려져 있는데, 26편의 초기 라틴 희극이 현존하며, 그중 20편은 플라우투스가, 나머지 6편은 테렌티우스가 쓴 것이다.[4] 이들은 신희극으로 알려진 그리스 희곡을 모델로 삼았지만, 원작의 줄거리와 어휘를 자유롭게 다루었다. 플라우투스는 그의 희곡 전반에 노래를 흩뿌렸고, 말장난과 재치 있는 말, 그리고 배우들의 코믹한 행동으로 유머를 더했다. 테렌티우스의 희곡은 더욱 엄숙한 어조로 가정적인 상황을 다루었다. 그의 작품은 서기 17세기 프랑스와 영국의 희극에 주요한 영감을 주었다.

이 시대의 산문은 카토 장로의 ''농업론''(기원전 160년)을 통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카토는 로마와 다른 이탈리아 도시들의 최초의 라틴어 역사를 썼다.[5] 그는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으로 정치 연설을 문서로 남긴 최초의 로마 정치가였다.

초기 라틴 문학은 30권의 ''풍자시''(기원전 2세기)로 새로운 유형의 시를 창조한 가이우스 루킬리우스로 끝을 맺는다. 그는 책, 음식, 친구, 그리고 시사에 대해 쉽고 대화적인 어조로 썼다.

2. 2. 황금 시대 (기원전 1세기 ~ 기원후 1세기)

전통적으로 라틴 문학의 황금기는 기원전 81년부터 서기 17년까지로 여겨져 왔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이 시대의 작품들을 그 이전과 이후의 작품들보다 우월하게 평가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6] 이 시기는 일반적으로 키케로의 첫 번째 연설로 시작하여 오비디우스의 죽음으로 끝났다고 한다.

라틴어 문학은 그리스 문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면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공화정 말기에 키케로 등에 의해 세련되었고,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황금기를 맞이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문체는 알기 쉽고 분명하며 긴장감이 있고 힘차다. 불리한 사실을 생략하기 위해 간결한 말을 쓰고, 3인칭(카이사르는…했다)을 즐겨 써서 객관적인 인상을 풍겼으며, 암암리에 자기 선전·자기 변호에 힘썼다. 「갈리아 전기」는 라틴어 산문의 걸작으로 꼽힌다. 객관성과 성찰의 완성은 역사가 살루스티우스의 작품들(「카틸리나 음모」, 「유구르타 전쟁」, 「역사(歷史)」)에서 두드러진다. 조국에 해를 끼치는 사람들에게 대한 노여움, 그리고 냉엄한 현실을 직시함으로써 생긴 산문은 타키투스(55?~117?)의 모범이 되었다.

혼란한 시대에 마음의 평화를 구하는 사람이 나타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에피쿠로스 학파의 루크레티우스(전 94?~후 55)는 철학시 「사물의 본질에 관하여」에서 무력한 기성 종교를 통렬히 비판했다. 시끄러운 세상에 ‘로마에서 제일가는 민감한 시인’(테니슨의 평)인 카툴루스(전 84?~후 54?)가 나타난 것은 하나의 경이로운 일이다. 그는 22세 때 약 10세 연상의 유부녀인 클로디아를 알게 되어, 미모의 여인에 대한 열렬한 사랑, 그리고 그로 인한 질투와 절망을 시로 표현했다(『시집』).

2. 2. 1. 키케로 시대 (공화정 말기)

키케로는 전통적으로 라틴 문체의 대가로 여겨져 왔다.[7][8] 기원전 80년경부터 기원전 43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남긴 저술은 양과 장르, 주제의 다양성 면에서 기존에 남아 있는 라틴 작가들을 압도하며, 비할 데 없는 문체의 우수성을 지니고 있다. 키케로의 많은 저술은 (1) 서한, (2) 수사학 논문, (3) 철학적 저술, (4) 연설문의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그의 서한들은 로마 역사의 중요한 시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로마 지배 계급의 공적 및 사적 삶에 대한 생생한 그림을 보여준다. 키케로의 수사학에 관한 저술은 고대 교육 및 수사학 이론에 대한 가장 귀중한 라틴 자료이다. 그의 철학적 저술은 중세 시대 도덕 철학의 기초가 되었다. 그의 연설은 많은 유럽 정치 지도자들과 미국의 건국 아버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키케로


로마 연설가


공화정 말기를 장식하는 변론 무대는 주로 법정과 민회였다. 정적의 고발, 피고의 변호, 민회에서의 법안 설명, 선동 등 변론은 실용적 기능이었다. 그러나 카이사르 정도의 실리주의자가 변론의 제1인자가 아니었던 것을 유감으로 생각하듯이, 변론은 단순한 기능 이상으로 교양이나 학식을 알려주는 척도였다. 키케로(기원전 106년 - 43년)에 이르러서는 변론(즉 학식)에 의한 지배조차 꿈꾸었다. 그의 웅변은 「카틸리나 탄핵 연설」에 의해 ‘국부(國父)’의 영예를 가져오지만, 「필리피카이」(안토니우스 탄핵연설)는 그의 죽음의 원인이 되었다. 키케로에게는 연설 형식의 시론(時論) 「베레스 탄핵」이 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살루스투스는 키케로 시대의 중요한 역사 작가들이었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과 내전에 대한 논평을 솔직한 문체로 써서 장군으로서의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했다. 그는 사람들과 그들의 동기에 대한 묘사를 썼다.

같은 시기에 라틴어 서정시가 탄생했다. 아울루스 겔리우스[9]가 "가장 우아한 시인"이라고 불렀던 카툴루스의 서정시는 감정의 강렬함으로 유명하다.[9] 카툴루스와 동시대인 루크레티우스는 장편시 ''사물의 본성에 대하여 (De rerum natura)''에서 에피쿠로스 철학을 설명했다.

이 시대의 가장 다작 작가 중 한 명은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였다. 퀸틸리아누스[10]에 의해 "가장 박식한 로마인"으로 불린 그는 종교에서 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해 저술했지만, 그의 저술 중 농업과 라틴어에 관한 것만이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키케로는 플라톤에게서 배웠으며 대화 형식의 철학논문(「우정론」, 「국가론」 등)을 썼다. 놀라운 것은 그리스로부터 배우려는 태도였으며, 백과전서적 지식인 테렌티우스 바로의 방대한 저서 『라틴어론(論)』, 『농업론』 등이 그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키케로 시대의 주요 작가 및 작품 목록이다.

작가생몰년주요 작품 및 활동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기원전 284년 - 204년서사시 번역, 비극
플라우투스기원전 254년경 - 169년희극 『암피트류오』, 『황금 항아리』, 『카시나』
엔니우스기원전 239년 - 149년서사시, 희비극 등. 대표작 『연대기』, 『메데이아』
카토 대제기원전 234년 - 149년『농업론』
테렌티우스기원전 190년 - 159년희극 『안드로스 섬의 여인』, 『형제들』
키케로기원전 106년 - 43년카이사르의 정적. 라틴 산문의 완성자. 『국가론』, 『법률』, 『우정에 관하여』, 『노년에 관하여』
카이사르기원전 100년 - 44년경장군이자 정치가. 『갈리아 전기』, 『내란기
살루스티우스기원전 86년 - 35년경카이사르파 장군. 역사서 『카티리나 전기』, 『유구르타 전기』


2. 2. 2. 아우구스투스 시대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기원전 27년부터 서기 14년까지 자신의 통치 기간 동안 창작된 문학 작품에 개인적인 관심을 가졌다. 이 시기는 때때로 라틴 문학의 아우구스투스 시대라고 불린다. 베르길리우스는 목가시 ''에클로그'', ''게오르기카'', 그리고 로마 건국으로 이어지는 사건들을 묘사한 서사시 ''아이네이스''를 발표했다. 베르길리우스는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로마인의 조상이 된 과정을 서술하며 로마의 세계 지배에 대한 신성한 정당성을 부여했다. 베르길리우스는 시에 마무리 손질을 하기 전에 사망했지만, 그의 작품은 곧 라틴 문학의 가장 위대한 작품으로 여겨졌다.[11][12]

베르길리우스


베르길리우스의 친구 호라티우스는 ''에포데스'', ''오데스'', ''사티라'', 그리고 ''에피스틀레''를 저술했다. ''오데스''는 내용, 형식, 스타일의 완벽함으로 수백 년 동안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사티라''와 ''에피스틀레''는 세련되고 재치 있는 방식으로 윤리적, 문학적 문제를 논한다. 아마도 별도의 작품으로 출판되었을 ''시의 기술''은 후대 시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작품은 로마인들이 이해하고 사용했던 고전적 글쓰기의 기본 규칙을 명시했다. 베르길리우스가 사망한 후 호라티우스는 로마의 대표 시인이 되었다.[13]

라틴 애가는 티불루스, 프로페르티우스, 그리고 오비디우스의 작품에서 최고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 시들의 대부분은 사랑을 다룬다. 오비디우스는 로마의 축제와 그 전설적인 기원을 묘사한 ''파스티''를 저술했다. 오비디우스의 가장 위대한 작품인 ''변신 이야기''는 다양한 신화들을 빠르고 매력적인 이야기로 엮어낸다. 오비디우스는 활기차고 열정적인 인물들을 창조하는 데 뛰어난 재치 있는 작가였다. ''변신 이야기''는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내내 가장 잘 알려진 그리스 로마 신화의 원천이었으며, 많은 시인, 화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작품이 전해져 내려온 고대 로마의 몇 안 되는 여성 시인 중 한 명은 술피키아이다.[14]

산문에서는 리비우스가 142권에 달하는 로마인의 역사를 저술했다. 35권만 남아 있지만, 로마에 대한 중요한 정보의 주요 원천이다.[15]

2. 3. 백은 시대 (기원후 1세기 ~ 2세기)

아우구스투스 사망(14년)부터 약 200년까지 로마 작가들은 문체를 강조하고 새롭고 놀라운 표현 방식을 시도했다. 54년부터 68년까지 네로 통치 기간 동안 스토아학파 철학자 세네카는 자비와 관용 같은 도덕적 주제에 관한 많은 대화와 편지를 썼다. 그의 『자연에 관한 질문(Natural Questions)』에서 세네카는 지진, 홍수, 폭풍을 분석했다. 세네카의 비극은 유럽 비극 드라마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6] 그의 조카 루칸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사이의 내전을 묘사한 서사시 『파르살리아(Pharsalia)』(약 60년)를 썼다.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Satyricon)』(약 60년)은 최초의 라틴어 피카레스크 소설이었다.[16] 완성된 작품의 단편만 남아 있다. 이 작품은 터무니없고 사치스럽고 위험한 상황, 특히 사소한 범죄의 세계에서 다양한 하층 계급 인물들의 모험을 묘사한다.

서사시에는 금색 양털을 찾는 제이슨과 아르고나우타이 이야기를 따르는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의 『아르고나우티카(Argonautica)』, 오이디푸스의 아들들과 테바이를 공격한 일곱 영웅의 갈등을 따르는 스타티우스의 『테바이스(Thebaid)』, 한니발의 이탈리아 침공과 제2차 포에니 전쟁을 따르는 실리우스 이탈리쿠스의 『푸니카(Punica)』가 포함된다. 마르티알의 손에서 에피그램은 여전히 ​​그것과 관련된 신랄한 특성을 얻었다. 유베날리스는 악덕을 풍자했다.

역사가 타키투스는 2세기 초에 쓴 『역사(Histories)』와 『연대기(Annals)』에서 초기 제국의 잊을 수 없을 정도로 어두운 그림을 그렸다. 그의 동시대인 수에토니우스율리우스 카이사르부터 도미티아누스까지 12명의 로마 통치자에 대한 전기를 썼다. 플리니우스의 편지는 당시 로마 생활을 묘사했다. 퀸틸리아누스는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고대 교육에 관한 가장 완전한 작품을 저술했다. 2세기의 중요한 작품으로는 친구들 사이의 문학적 논의에 대한 일화와 보고서 모음인 아울루스 겔리우스의 『아티카의 밤(Attic Nights)』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보낸 웅변가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의 편지가 있다. 당시 가장 유명한 작품은 아풀레이우스의 『변신(Metamorphoses)』, 즉 『황금 당나귀(The Golden Ass)』였다. 이 소설은 우연히 당나귀로 변한 젊은 남자에 관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사랑과 마법의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3.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기독교 라틴 문학의 기초를 닦은 작가들로는 아우구스티누스, 예로니모, 암브로시오와 최초의 위대한 기독교 시인 프루덴티우스가 있다. 기독교 여성의 라틴 저술도 일부 남아 있는데, 순교자 페르페투아의 감옥 일기[17]와 순례자 에게리아의 기독교 순례 기록[18]이 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전 시대의 라틴어로 복귀했는데, 이를 네오라틴(Neo-Latin)이라고 한다. 이 정제된 언어는 유럽 전역의 학자들 사이에서 공용어(lingua franca)로 계속 사용되었으며, 데카르트, 프랜시스 베이컨, 바뤼크 스피노자의 위대한 작품들이 모두 라틴어로 쓰였다. 라틴 산문으로 주로 쓰인 마지막 중요한 책들 중에는 에마누엘 스베덴보리(d. 1772), 칼 린네(d. 1778), 레온하르트 오일러(d. 1783),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d. 1855), 아이작 뉴턴(d. 1727)의 작품이 있으며, 라틴어는 근대 초기의 중요한 언어학, 문학, 철학 작품을 읽는 현대 독자들에게 필수적인 기술로 남아 있다.

영국의 주요 시인들 중 몇몇은 영어뿐만 아니라 라틴어로도 글을 썼다. 밀턴의 1645년 시집(Milton's 1645 Poems)이 한 예이지만, 토마스 캠피언, 조지 허버트, 그리고 밀턴의 동료 앤드루 마벨도 있다. 실제로 일부는 주로 라틴어로 글을 썼고 그들의 우아하고 고전적인 스타일로 인정받았다. 앤서니 얼소프와 빈센트 본이 그 예인데, 그들은 18세기 삶의 세부 사항을 묘사하는 데 그들의 시를 독창적으로 각색하면서도 라틴어 어휘의 순수성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19] 19세기까지도 라틴어 시의 질로 주목받은 마지막 인물 중 한 명은 월터 새비지 랜더이다.[20]

참조

[1] 서적 The nature of Roman comedy: a study in popular entertain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 서적 Remains of Old Latin: Livius Andronicus, Naevius, Pacuvius and Acciu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36
[3] 웹사이트 Annales {{!}} work by Ennius https://www.britanni[...] 2020-01-22
[4] 서적 Dictionary of world literature: criticism, forms, techniqu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10-15
[5] 서적 Roman Historiograph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1-10-18
[6] 서적 Allusion and Intertext Cambridge 1998
[7] 서적 Letters of Marcus Tullius Cicero and Letters of Gaius Plinius Caecilius Secundus: Part 9 Harvard Classics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1-10-15
[8] 서적 Lectures and Essays: Second Se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10-18
[9] 웹사이트 Aulus Gellius, Attic Nights, A. Gellii Noctium Atticarum Liber Sextus, XX http://www.perseus.t[...]
[10] 웹사이트 LacusCurtius • Quintilian — Institutio Oratoria — BookX, Chapter1 https://penelope.uch[...] 2022-02-02
[11] 서적 Lati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10-15
[12] 서적 The Stoic Tradition from Antiquity to the Early Middle Ages: Stoicism in classical Lati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2011-10-18
[13] 서적 Poetry and Drama: Literary Terms and Concepts.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1-10-18
[14] 서적 Women Writing Latin: from Roman Antiquity to Early Modern Europe
[15] 서적 Life and thought in the Greek and Roman worl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10-15
[16] 서적 The Greek and Roman critics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11-10-15
[17] 서적 Perpetua: Athlete of God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Pilgrimage of Egeria: A New Translation of the Itinerarium Egeriae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Liturgical Press Academic
[19] 서적 Neo-Latin Poetry in the British Isles https://books.google[...] London
[20] 웹사이트 The Poems of W. S. Landor http://www.thelatinl[...] 2022-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